1. 시츄의 특징
라사압소와 페키니즈 혼합의 믹스견으로 시쮸나 시츄라고 불린다. 이름의 유래는 사자로, 정확히는 중국에서 사자개라고 불려왔다.
시츄는 중국황실을 위해 티뱃의 라사압소를 들여와 페ㅣ니즈와 교배시켜 오랜 세월에 걸쳐 만들어낸 견종이라는 게 유력한 설이다. 황실 전용견인 페키니즈를 더욱 사자와 같은 모습으로 개량한 결과가 시츄라는 것이다.
좋은 품종은 아름답고 긴 황금색의 가까운 갈색과 흰색 털이 나있다.
시츄는 다른 견종과 다르게 순종에 정해진 색이 없다.
골드, 화이트, 파티컬러, 검정, 와인색, 갈색등 색상에 있어선 매우 다양하다.
시츄는 다른 견종에 비해 독특한 성격과 특성이 강하다.
시츄는 짖는 것조차 귀찮아한다고 여기는 견주가 많은데, 근본적으로 자존심이 강한 견종인 탓이다. 다르게 말하면 의사표현을 하거나 속내를 드러내 보이는 것은 좋아하지 않는 성격 때문이다.
가끔 배가 고프거나 하면 주인에게 와서 외마디 왕, 하고 짖는게 다하고 하니 말 다했다.
시츄는 키는 22~27cm 정도이며 체중은 4~7kg 사이다. 요즘은 3kg대의 체중이 심심찮게 보이기도 하고, 1~2kg대의 콩시츄도 유행하고 있다고 한다.
시츄는 주둥이는 짧고 눈이 큰 것이 특징이다. 그 눈망울에 반해서 시츄를 좋아하는 사람도 많다. 신체구조상 잘 때 코를 잘 고는 편이다.
시츄는 활발한 아이보다는 게으른 아이의 비중이 더 크다. 게다가 먹성도 좋을 편이다. 그러므로 비만을 조심하고 대비하는 마음으로 어릴 때 부터 식단조절을 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다.
성견이 된 시츄는 만사에 귀찮아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모험심이 적고 겁이 많아 새로운 것을 반기지 않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로 산책을 나가서 조금만 걸으면 멈춰서서 주인에게 안아주기를 요구하는 등 확실히 여타 견종과는 다소 다른 면모를 보인다.
더불어 시츄는 훈련을 잘 받아들이지 않는 걸로 유명한데, 자신의 원래 습관을 바꾸려하지 않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향운 암컷보다 수컷의 경우가 많다고 하니 참고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시츄는 특이하게도 견주에겐 퉁명한데, 낯선 사람은 무척이나 좋아하는 면모를 보인다. 사람들이 자신을 귀여워해주길 바라는 듯 어슬렁대기도 한다. 보통 낯선 사람을 경계하고보는 보통 견종과는 확실히 다르다.
사실 시츄가 견주보다 낯선사람에 굶주린 것처럼 보이는 것은 , 강제적인 훈련과 교정에 대한 반감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의견이 대다수다.
앞에서 설명했듯 시츄는 훈련받기 싫어하는 성격인데 주인은 반대의 경우니 반복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시츄는 과도하고 성급한 훈련을 지양하기를 추천한다.
결론적으로 시츄는 혼내는 것보다는 칭찬을 해주는 것이 훈련 성공률이 높다. 시츄 특유의 자존심을 충족시켜 주는 것이 시츄의 마음을 여는 데 쉽기 때문이다.
시츄는 겁과 의심이 많지만 공을 좋아하는 경우가 많다. 공 속에 방울 같은 소리가 나는 경우 더더욱 호기심을 가지고 잘 논다. 또 양말을 좋아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참으로 개성적인 견공이 아닐 수 없다.
2. 시츄를 추천하는 이유
시츄는 성격이 정말 좋다. 정확히 말하자면 일반적인 견종 중 가장 공격성이 낮으며, 많은 견주들이 걱정하는 짖음도 매우 적다고 알려져있다. 주인에게 집착하지 않는 성격상, 요구성 짖음과 불리불안 증상 또한 거의 없는 것도 장점이다.
성격적인 장점 이외에도 장모종 치고 털이 잘 안 빠진다는 장점도 있다. 때문에 배변관련 문제를 제외하면 가정에서 키우기에 시츄만큼 적합한 견종도 없다.
시츄는 본인의 고집이 세다는 점을 제외하면 이기적인 면도 없고, 견주에게 화내는 일이 없으며(다만 자신의 생황에 과도한 간섭은 무척이나 싫어한다) 외부자극에 대하 무던해서 헛짖음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즉, 성대수술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이렇듯 시츄가 적극성이 없는 개라는 점은 여러모로 장점이고 단점으로 볼 수 있는 점도 견주가 어느정도 타협해서 받아들이면 편하다.
그야말로 시츄는 초보자가 키우기에, 집을 자주 비우는 현대인이 키우기에 적합한 강아지인 것이다.
이외에도 시츄의 털은 직모가 아니라서 비듬이 덜 날린다. 개털 알레르기가 사실 털보다 비듬 때문일 확률이 훨씬 높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 추천되는 견종 중 하나가 바로 이 시츄다.
3. 키울 때 유의사항
시츄는 고집이 황소고집이라 훈련이 힘든 것으로 악명이 높다. 특히 배변훈련에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 시츄에게 큰 애교를 기대하면 안 된다. 무던한 성격은 때론 무심하게 보일 수도 있어, 상처받는 견주들도 있다고 한다.
시츄는 포메라니안과는 반대로 외견이 크게 변할 수 있다. 성견이 되면 외모가 달라지는 경우가 흔해서 미모를 유지하기를 원한다면 꽤나 노력을 기울려야한다. 시츄도 장모종이므로 털이 엉키지 않게 매일 빗질을 해주길 추천한다.
시츄는 소형동물과 함께 기르지 않는 것이 좋다. 작고 꼼지락거리는 동물에 관심을 보이고 잡으려드는 경우가 있다.
무엇보다 시츄는 참을 성이 엄청난 견종인 만큼 아파도 표현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7살이상이라면 6개월에 한번씩은 건강진단을 요하는 견종이다.
시츄는 눈이 큰 만큼 안질환이 많고 기타 잡병에도 시달리는 견종이며, 노견일 경우 특히 판막질환을 조심해야한다. 폐나 심장에 물이 차기전에 발견하면 무난히 관리할 수 있으니 미리미리 대비하는게 좋다.
'반려견 살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티즈, 순백의 작은 반려견 (0) | 2022.09.23 |
---|---|
웰시코기, 요리조리 이모저모 (0) | 2022.09.21 |
푸들, 걱정거리가 적은 반려견 (0) | 2022.09.19 |
리트리버, 각광받는 이유는? (0) | 2022.09.16 |
포메라니안, 솜사탕 같은 매력덩어리 (0) | 2022.09.14 |
댓글